반응형

vue, react 등 프론트엔드 개발할때 node, npm, yarn 을 듣게 됩니다.

 

Node.js, npm, yarn은 모두 자바스크립트 개발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구들이지만, 각각의 역할과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비교 요약

구분 Node.js npm yarn
역할 JS 런타임 환경 기본 패키지 관리자 대체 패키지 관리자
설치 방식 공식 사이트에서 직접 설치 Node.js 설치 시 자동 포함 별도 설치 필요(npm 등으로)
주요 기능 JS 실행, 서버 개발 패키지 설치/삭제/관리 패키지 설치/삭제/관리
특징 런타임 CLI, 레지스트리 제공 속도, 안정성, 보안 강화
 

Node.js란?

  • Node.js는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입니다.
  • 서버 사이드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npm이란?

  • npm(Node Package Manager)은 Node.js의 기본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 Node.js를 설치하면 npm도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 npm은 온라인 저장소(레지스트리)에 올라온 수많은 자바스크립트 패키지를 설치, 삭제,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 명령줄 인터페이스(CLI)를 통해 패키지 설치/제거, 버전 및 의존성 관리 등을 수행합니다.

yarn이란?

  • yarn은 Facebook에서 개발한 또 다른 자바스크립트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 npm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만들어졌으며, npm 레지스트리와 호환됩니다.
  • 패키지 설치 속도, 안정성, 보안 측면에서 개선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 yarn은 별도로 설치해야 하며, npm을 통해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관계 구조

  • Node.js는 자바스크립트가 동작하는 환경(런타임)입니다.
  • npm yarn은 Node.js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 두 패키지 관리자는 모두 Node.js 기반 프로젝트에서 외부 라이브러리(패키지)를 쉽게 설치,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 yarn은 npm과 명령어는 다르지만, 기능적으로 유사하며, 같은 레지스트리(npm 저장소)를 공유합니다.

결론

  • Node.js는 자바스크립트가 동작하는 환경이고,
  • npm과 yarn은 Node.js 환경에서 패키지를 설치·관리하는 도구입니다.
  • npm은 Node.js와 함께 기본 제공되고, yarn은 npm의 대안으로 별도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두 패키지 관리자는 같은 목적을 갖고 있으며, 명령어와 일부 동작 방식, 성능, 보안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 4217 통화코드  (0) 2025.04.01
용도별 10가지 AI 서비스 소개  (0) 2025.03.16
Windows 11 우클릭 메뉴 이전처럼 변경하기  (2) 2025.03.12
CENTOS 고정(Static) IP 설정  (0) 2025.03.10
Windows OneDrive 동기화 해제  (0) 2025.03.09
반응형

금융이나 결제 관련 업무를 하다보면 통화코드에 대하여 확인할 일들이 생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한국원 : KRW, 통화코드 410

미국달러 : USD, 통화코드 840

 

ISO 4217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국제 표준으로, 통화와 자금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3문자 알파벳 코드와 숫자 코드를 정의합니다. 이 표준은 주로 무역, 상업, 은행업에서 사용되며, 1973년에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주요 특징
알파벳 코드: 각 통화는 고유한 세 글자 코드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 달러는 "USD"로 표시됩니다.
숫자 코드: 각 통화에는 세 자리 숫자 코드도 할당됩니다. 미국 달러의 숫자 코드는 "840"입니다.
보조 통화 단위: 대부분의 통화는 주요 단위의 1/100을 보조 단위로 사용하지만, 일부는 다른 비율을 사용하거나 보조 단위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 엔(JPY)은 보조 단위를 사실상 사용하지 않아 지수가 0으로 설정됩니다

iso-4217-currencies.json
0.05MB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 npm, yarn의 관계  (1) 2025.04.20
용도별 10가지 AI 서비스 소개  (0) 2025.03.16
Windows 11 우클릭 메뉴 이전처럼 변경하기  (2) 2025.03.12
CENTOS 고정(Static) IP 설정  (0) 2025.03.10
Windows OneDrive 동기화 해제  (0) 2025.03.09
반응형

AI 서비스 종류

유명한 AI서비스를 용도별로 정리해 봤습니다.
ChatGPT 대화형 AI로, 질문에 답변하고 글쓰기, 요약 등을 지원합니다. 대화형 인터페이스에서 다양한 질문에 답변.
Google Gemini (제미나이) 유튜브 영상 요약 및 이미지 생성 기능을 제공하는 구글의 AI 서비스입니다. 유튜브 영상 요약, 이미지 생성.
Grok 3 검열에 자유로운 디페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서비스입니다. 디페이 이미지 생성.
Suno AI 음악 작곡 도구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생성합니다. 음악 작곡.
Perplexity AI 기반 검색 엔진으로,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정보 검색.
DeepMind AI 연구 및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회사입니다. AI 연구 및 개발.
Canva Magic Studio AI를 활용한 그래픽 디자인 도구입니다. 그래픽 디자인.
Bubble AI를 활용한 앱 개발 도구입니다. 앱 개발.
Asana 프로젝트 관리 도구로, AI를 활용한 업무 자동화가 가능합니다. 프로젝트 관리.
NVIDIA AI AI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AI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지원.
 
  1. ChatGPT
    • 용도: 대화형 인터페이스에서 다양한 질문에 답변.
    • 설명: ChatGPT는 대화형 AI로, 질문에 답변하고 글쓰기, 요약 등을 지원합니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정보를 요약하거나, 글을 작성하거나, 번역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2. Google Gemini (제미나이)
    • 용도: 유튜브 영상 요약, 이미지 생성.
    • 설명: Google Gemini는 구글의 AI 서비스로, 유튜브 영상 요약 및 이미지 생성 기능을 제공합니다. 자연어 처리와 기계 학습을 활용하여 인간과 같은 대화를 시뮬레이션하며,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이해가 가능합니다. 특히 유튜브 영상 요약에 강점을 보입니다
  3. Grok 3
    • 용도: 디페이 이미지 생성.
    • 설명: Grok 3은 고급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진 AI 모델로, 논리적 추론과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또한 DeepSearch 모드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를 검색하고 요약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4. Suno
    • 용도: 음악 작곡.
    • 설명: Suno는 음악 작곡 AI로, 텍스트 프롬프트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주제, 분위기, 장르를 입력하여 원하는 음악을 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5. Perplexity
    • 용도: 정보 검색.
    • 설명: Perplexity는 AI 기반 검색 엔진으로, 다양한 소스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요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빠른 검색과 깊이 있는 답변을 제공하며, 특히 복잡한 질문에 유용합니다
  6. DeepMind
    • 용도: AI 연구 및 개발.
    • 설명: DeepMind는 구글의 AI 연구 회사로, 심층 강화 학습과 신경망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의료, 게임, 환경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7. Canva Magic Studio
    • 용도: 그래픽 디자인.
    • 설명: Canva Magic Studio는 AI 기반 디자인 도구로, 사용자가 쉽게 그래픽, 비디오, 프레젠테이션 등을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자동화된 디자인 기능을 통해 전문가 수준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8. Bubble
    • 용도: 앱 개발.
    • 설명: Bubble은 AI를 활용한 노코드 앱 개발 플랫폼으로,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앱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워크플로우와 로직을 설정하여 자동화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9. Asana
    • 용도: 프로젝트 관리.
    • 설명: Asana는 프로젝트 관리 도구로, AI를 활용하여 업무 자동화와 프로젝트 계획을 지원합니다. 팀원 간의 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10. NVIDIA AI
    • 용도: AI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지원.
    • 설명: NVIDIA AI는 AI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다양한 AI 모델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특히 딥러닝 작업에 강점을 보입니다.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 npm, yarn의 관계  (1) 2025.04.20
ISO 4217 통화코드  (0) 2025.04.01
Windows 11 우클릭 메뉴 이전처럼 변경하기  (2) 2025.03.12
CENTOS 고정(Static) IP 설정  (0) 2025.03.10
Windows OneDrive 동기화 해제  (0) 2025.03.09
반응형

Windows 11로 업그레이드한 후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우클릭 메뉴(컨텍스트 메뉴)의 간소화입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이전 버전의 풍부한 기능을 그리워하는데요. 다행히도 레지스트리 편집이나 간단한 설정 변경을 통해 Windows 10 스타일의 우클릭 메뉴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Windows 11 우클릭 메뉴의 변화

Windows 11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기능만 표시하는 간소화된 메뉴가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기존의 모든 옵션을 보려면 "추가 옵션 표시"를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죠.

 

1. shift + 우클릭

shift키를 누른상태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기존 처럼 메뉴가 열립니다.

 

2. 레지스트리 강제 추가 방법

  1. cmd.exe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reg.exe add "HKCU\Software\Classes\CLSID\{86ca1aa0-34aa-4e8b-a509-50c905bae2a2}\InprocServer32" /f /ve
  3. 윈도우 재시작

 

3.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통한 변경 방법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하기
    • 'Windows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열고 'regedit'을 입력한 후 엔터를 누릅니다.
    • 관리자 권한 요청 창이 나타나면 '예'를 선택합니다.
  2. 해당 레지스트리 경로로 이동
    • 다음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CURRENT_USER\Software\Classes\CLSID
  3. 새 키 생성
    • 'CLSID' 폴더에서 우클릭 후 '새로 만들기 > 키'를 선택합니다.
    • 키 이름을 {86ca1aa0-34aa-4e8b-a509-50c905bae2a2}로 입력합니다.
  4. 하위 키 생성
    • 방금 만든 키 아래에 다시 우클릭하여 '새로 만들기 > 키'를 선택합니다.
    • 키 이름을 InprocServer32로 입력합니다.
  5. 기본값 설정
    • 'InprocServer32' 키를 선택하고, 오른쪽 창에서 '기본값'을 더블클릭합니다.
    • 값 데이터는 비워둔 채로 '확인'을 클릭합니다.
  6. 변경사항 적용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종료하고 컴퓨터를 재시작하거나 탐색기를 다시 시작합니다.

탐색기 재시작 방법

  1. 작업 관리자 실행
    • 'Ctrl + Shift + Esc' 키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2. 탐색기 종료 및 재시작
    • '프로세스' 탭에서 'Windows 탐색기'를 찾습니다.
    • 우클릭 후 '다시 시작'을 선택합니다.

변경 사항 되돌리기

만약 원래의 Windows 11 우클릭 메뉴로 돌아가고 싶다면:

  1. 앞서 생성한 레지스트리 키 {86ca1aa0-34aa-4e8b-a509-50c905bae2a2}를 삭제합니다.
  2. 탐색기를 다시 시작하거나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주의사항

  • 레지스트리 편집은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변경 전에 레지스트리를 백업해두세요.
  • Windows 업데이트 이후 설정이 초기화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이 방법을 통해 Windows 11에서도 이전처럼 편리한 우클릭 메뉴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파일 관리나 개발 작업을 자주 하시는 분들에게 유용한 팁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 4217 통화코드  (0) 2025.04.01
용도별 10가지 AI 서비스 소개  (0) 2025.03.16
CENTOS 고정(Static) IP 설정  (0) 2025.03.10
Windows OneDrive 동기화 해제  (0) 2025.03.09
ChatGPT 데스트톱 버전 다운로드 및 실행 단축키  (2) 2025.03.04
반응형

가끔 CENTOS서버에 고정IP를 설정할 필요가 있어서 기록!!!

 

1. ethtool

ethtool은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정보를 조회하는 데 사용되는 유틸리티입니다.

# CentOS 7, RHEL 7

$sudo yum install ethtool -y  

 

2. 장치인터페이스 확인

ifconfig, ethtool

# CentOS 7, RHEL 7

$ifconfig

# 특정 랜카드 LED 깜밖거리게 하여 확인
$sudo ethtool -p eth1

 

3. 고정IP 설정

ethtool로 해당 랜카드를 식별했으면 IP설정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vi ifcfg-eth1
BOOTPROTO=static
ONBOOT=yes
IPADDR=192.168.1.2
GATEWAY=192.168.1.1
DNS1=8.8.8.8

 

4. 네트워크서비스 재시작

관리자 권한으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 한다.

$sudo service network restart

 

반응형
반응형

 

OneDrive는 Windows에 기본적으로 포함된 클라우드 저장소로, 파일을 자동으로 백업하고 여러 기기에서 동기화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개인에 따라서는 불편할수 있는데요.

동기화 해제 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Windows OneDrive 동기화 해제

1. Windows 작업 표시줄에서 OneDrive 아이콘 클릭

2. [이 PC 연결 해제] 클릭

3. [계정 연결 해제] 클릭

 

OneDrive는 유용한 클라우드 서비스지만, 성능 저하, 저장 공간 부족, 보안 문제, 동기화 충돌, 네트워크 사용량 증가 등의 이유로 동기화를 해제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도 있습니다. 위의 방법을 참고하여 필요에 따라 OneDrive 동기화를 관리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ChatGPT 데스크톱 버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다운로드 방법

 

2. 설치 절차

  •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 실행
  • 화면의 안내에 따라 설치 진행
  • 설치 완료 후 바탕화면/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 가능

 

3. 주요 단축키

  • ChatGPT를 내 컴퓨터에서 바로 실행하는 법
    • Windows 사용자는 'Alt + Space키'
    • Mac 사용자는 'Option + Space키'

 

4. 추가 팁

  • 자동 업데이트 기능 내장
  •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대화 임시 저장 가능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11 우클릭 메뉴 이전처럼 변경하기  (2) 2025.03.12
CENTOS 고정(Static) IP 설정  (0) 2025.03.10
Windows OneDrive 동기화 해제  (0) 2025.03.09
JAVA classfile - 컴파일한 JAVA 버전  (0) 2024.08.26
JAVA  (0) 2023.10.29
반응형

JAVA 호환성의 이유로, 배포되는 bouncycastle  jar파일이 java 몇버전에서 컴파일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했다.

 

WIN> javap -verbose ASN1PKIXNameConstraintValidator.class  | findstr "version"

LINUX> javap -verbose ASN1PKIXNameConstraintValidator.class | grep "version"
  minor version: 0
  major version: 49

 

아래표를 확인하면, JDK1.5에서 컴파일된 바이너리인것을 확인할수 있다.

확인은 필요하겠지만, 하위 JDK에서 빌드된 바이너리는 상위버전에서 동작한다.

순서 자바 버전 major version
1 자바2 (1.2) 46
2 자바3 (1.3) 47
3 자바4 (1.4) 48
4 자바5 49
5 자바6 50
6 자바7 51
7 자바8 52
8 자바9 53
9 자바10 54
10 자바11 55
11 자바12 56
12 자바13 57
13 자바14 58
14 자바15 59
15 자바16 60
16 자바17 61
17 자바18 62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11 우클릭 메뉴 이전처럼 변경하기  (2) 2025.03.12
CENTOS 고정(Static) IP 설정  (0) 2025.03.10
Windows OneDrive 동기화 해제  (0) 2025.03.09
ChatGPT 데스트톱 버전 다운로드 및 실행 단축키  (2) 2025.03.04
JAVA  (0) 2023.10.29

+ Recent posts